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현단계 설화 연구의 좌표

  • 41
커버이미지 없음

최근의 설화 연구를 보면 양적인 면에서는 뚜렷한 성장을 보이고 있지만 질적인 면에서는 뚜렷한 비약을 이루었다고 보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지금까지의 설화 연구에서 질적인 전환을 꾀했던 주요한 업적들을 살펴보면 하나같이 당대 현실이 요구하는 뚜렷한 문제의식에 기반하여 연구가 이루어졌음을 볼 때, 현단계 설화 연구의 좌표를 점검하는 작업은 현재의 학문 내적 현실과 학문 외적 현실이 요구하는 새로운 문제의식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어야 한다. 테크놀러지의 발달에 힘입은 디지털 글쓰기가 보편화되면서 생활인이 문학의 주체가 되고 생활경험이 문학적 형상화의 직접적인 원천이 되는 현실을 감안할 때, 설화문학에 대한 생활문학적 관점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문학은 생활이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 기반해서 설화 연구에 대한 새로운 분석틀을 제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설화의 생활문학적 특성의 하나로 ‘놀이성’을 제시하였다.

1. 논의의 맥락 - 현대사회와 설화

2. 연구 동향 반성 - 문제의식의 측면에서

3. 전환의 모색 - 설화의 현재성

4. 하나의 방향 - 설화의 놀이성

5. 전망 - 가능성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