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구비문학 유산과 지역문화의 상생적 관계

  • 29
커버이미지 없음

구비문학은 지역의 언어와 문학 유산으로서 지역문화의 중요한 영역을 차지하고 있을 뿐 아니라, 지역 현장에서 다른 지역문화의 여러 현상들을 의미 있게 해주고 바로잡아 주며 되살려 주는 구실을 하고 있어 주목된다. 1. 풍속전설은 관련 민속놀이의 잃어버린 유래를 찾아주고 그 본디 의미를 일깨워줌으로써 한갓 박제화된 문화재가 아니라 현실적인 삶 속에 생생하게 살아 있는 문화답게 만들어 준다. 2. 유물전설은 완전히 사라져버린 고대의 역사 유적을 찾아내고 발굴하여 연구하는 데 결정적인 증거물 구실을 한다. 3. 민요는 일노래와 놀이노래, 신앙노래에 따라 지역문화에 관한 귀중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이처럼 구비문학은 지역 문화재의 훌륭한 현장 안내자이자 문화유산 해설자이며, 지역문화 발굴자이자 연구자 구실을 함께 한다. 그러므로 구비문학은 스스로 지역문화 유산 구실을 하면서 다른 지역문화 유산들을 지역문화답게 역동적으로 살아나게 하는 메타지역문화로서 상생적 기능을 적극적으로 발휘한다고 할 수 있다.

1. 구비문학의 지역문화다운 성격과 기능

2. 구비문학의 갈래와 지역문화다운 수준

3. 풍속전설과 지역문화의 상생적 관계

4. 유물전설과 지역문화의 상생적 관계

5. 민요의 기능과 지역문화의 상생적 관계

6. 민요의 노랫말과 지역문화의 상생적 관계

7. 지역문화 자원으로서 구비문학 유산의 가치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