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KCI등재
학술저널
초록
본고의 목적은 제주도의 <문전본풀이>와 아이누의 <카무이 후치 야이유카르>를 비교하여 제주도 <문전본풀이>에 나타나 있는 제주도 가족제도의 한 특징을 살펴보는 데 있다. 결론적으로 <카무이 후치 야이유카르>에서 나타난 ‘부부중심’의 가족이 <문전본풀이>에서 확대&#8228;변용되어서 ‘부부중심’의 가족제도와 더불어 ‘모자중심’의 가족제도가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두 작품은 공통적으로 ‘부부관계’를 중시하고 있다는 사실을 작품의 내용을 통해 알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제주도의 <문전본풀이>에서는 가족의 시련을 극복하는 방식이 ‘모자중심’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주도의 <문전본풀이>에서는 ‘말자중시’의 의식이 드러나고 있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의 가족제도는 ‘서남형’, ‘동남형’ 그리고 ‘제주형’으로 나뉜다고 한다. 이는 그만큼 제주도의 가족제도가 본토와는 다소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반영한다고 할 수 있다. 본고는 이제까지 본토의 유사한 각편들과 함께 다루어서 드러나지 않고 있던 제주도 고유의 가족제도를 신화를 통해 확인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목차
1. 머리말
2. <문전본풀이>와 <카무이 후치 야이유카르>의 서사내용
3. 서사내용의 비교
4. 제주도 가족제도의 특징과 의미
5. 맺음말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13)
- 구비문학 유산과 지역문화의 상생적 관계
- 강릉단오제 설화연구
- 안성의 설화
- 濟州島와 아이누(アイヌ)의 口碑敍事詩 比較 硏究
- 구전설화의 변이양상과 변이요인 연구 : 익산지역 이야기꾼과 이야기판을 중심으로
- 한,일 신화의 비교 연구 : 일본 서남 제도의 일광 감응 신화를 중심으로 한 고찰
- 천예록의 야담사적 연구 : 서술방식과 서사의식을 중심으로
- 동아시아 日月調定神話 비교 연구
- 俗信語와 설화를 통해 본 생태적 사유
- 織物神의 傳承에 관한 試論的 硏究 : 옷․베짜기 신화소를 중심으로
- ‘보상’과 ‘처벌’의 서사구조와 그 구술문화적 의미
- 安城의 巫俗과 巫歌
- <문전본풀이>를 통해 본 제주도 가족제도의 한 특징 : 아이누의 <카무이 후치 야이유카르>와의 비교를 통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