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예천 청단놀음의 대립 구조와 지역성

  • 23

예천의 청단놀음은 명칭에서 ‘청(음)/단(양)’의 대립 구조를 시사하고, 유래설화에서도 ‘결원/해원’, ‘삶.결핍/죽음.충족’, ‘오신/오인’의 대립 구조가 추출된다. 탈의 조형에서도 ‘웃는 탈/성난 탈’, ‘남/녀’, ‘젊음/늙음’, ‘정상/비정상’, ‘동/서’, ‘남/북’, ‘희/노’, ‘애/락’의 대립을, 복색 면에서도 ‘청색/단색’, ‘전청후단/전단후청’,‘녹의홍상/흑백’의 대립을 보이는데, 이러한 대립 구조를 통해서 인물의 신분과 성별의 변별적 표지로 삼고, 성격과 감정을 유형화하여 표현하였다. 놀이마당은 ①광대판놀음, ②주지놀음, ③행의놀음, ④지연광대놀음, ⑤얼래방아놀음, ⑥무동놀음으로 구성되는데, 각 마당마다 인물 사이에 대립성이 나타나며, ①③⑤는 오락적,세속적인 내용이고, ②④⑥은 제의적,주술적 성격이 강하다. 하회는 예천과 지리적으로 인접하여 있고, 유래설화가 원혼형 제의발생설화이고, 여신의 탈이 모두 있고, 주지를 공유하고 있으며, 하회의 무동춤과 걸립,주지마당,중마당,양반선비마당이 예천의 무동놀음,주지놀음,얼래방아놀음,행의놀음과 각각 대응되는 점에서 예천 청단놀음이 화회별신놀이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1. 머리말

2. 청단놀음의 명칭과 유래담에 나타난 대립 구조

3. 탈의 조형과 복색에 나타난 대립 구조

4. 놀이마당의 극적 내용과 대립 구조

5. 하회별신굿탈놀이와의 영향 관계

6. 마무리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