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박동진 판소리 창본 <숙영낭자전>의 특징을 밝힌 것이다. 박동진( 1916년 - 2003년 )은 판소리 복원과 판소리 창작에도 남다른 관심과 두각을 보인 창자로서, 경판 28장본에 근거하여 <숙영낭자전>을 복원하였다. 또한, <숙영낭자전>은 정정렬 - 박록주 - 박송희로 전승되고 있는데, 이 논문에서는 박동진 창본 <숙영낭자전>과 경판 28장본, 정정렬&#8228;박록주&#8228;박송희의 자료들과 상호 비교 검토하였다. 이들 자료의 상호 비교를 통해 밝혀진 박동진 창본 <숙영낭자전>의 특징은 네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박동진 창본 <숙영낭자전>은 모본인 경판 28장본이나 다른 <숙영낭자전> 창본에 비하여, 극적 상황이 증대되고 있다. 그리하여, 연희적 성격이 강화되고 있다. 둘째, 박동진 창본 <숙영낭자전>은 매월이라는 악인의 형상이 부각되고 있으며, 돌쇠와 같은 인물은 악인의 보조자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극중 희극미를 창출하는 인물로 창조되고 있다. 이는 각각 극적 갈등을 고조시키기도 하고, 극적 긴장을 이완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셋째, 박동진 창본 <숙영낭자전>은 작품 결말 부분에 주인물들이 승천하는 모티브가 삭제되어 있어, 소설본이나 다른 창본들과 큰 차이점을 보인다. 이는 박동진 개인의 기독교적 세계관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넷째, 박동진 창본 <숙영낭자전>은 경판 28장본이라는 소설본에 입각하여, 실전 판소리를 완결된 판소리 창본으로 복원하려던 박동진의 의지가 잘 드러난다. 박동진 창본이 소설본을 수용하여 사설을 풍부하게 짜아 나가는 경향은 그의 전승 5가에서도 확인되는데, 이는 박동진이 스승에게 배운 3년이라는 짧은 판소리 수업기간과 오랜 동안의 독공으로 자기 소리를 만들어낸 그의 판소리 수련 과정과 관련이 있다.
Ⅰ. 序論
Ⅱ. <숙영낭자전>의 異本 紹介
1) 小說本
2) 唱本
Ⅲ. 小說本과 唱本의 比較
Ⅳ. 朴東鎭 唱本 <숙영낭자전>의 特徵
1) 劇的 狀況의 增大
2) 惡人의 形象 强化와 喜劇的 人物 創造
3) 昇天 모티브의 削除와 基督敎的 世界觀의 反映
4) 小說本에 立脚한 完結된 판소리 唱本 指向
Ⅴ. 結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