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무속신화에 나타난 救藥모티프의 서사화 양상과 그 의미

  • 97

이 글은 우리나라 무속신화 가운데 주인공이 생명수나 꽃 등을 구하기 위해 고난을 겪는 소위 탐색모티프가 몇몇 신화에 나타남을 주목하여, 이 모티프가 남녀 신격에 따라 어떻게 서사화되는지 살피기 위하여 작성되었다. 그리하여 여성 신격이 구약행위의 주체가 되는 자료로서 <바리공주>, <세경본풀이>를, 또 남성 신격이 그 주체가 되는 자료로서 <이공본풀이>와 <문전본풀이>를 대상으로 삼은 뒤, 남녀 신격별로 구약여행 도중에 겪는 고난이 어떠한지, 그리고 그 행위의 결과로서 주인공이 어떤 신직을 얻는지 등을 살펴보았다. 논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 신격이 주인공일 때는 ‘죽은자’가 남성이고, 반면에 남성 신격일 때는 ‘죽은자’가 여성이다. 둘째, 주인공 신격은 죽은자를 살리기 이전에 항상 죽은자와 분리된다. 이때 주로 여성 신격이 내쫓기고, 남성 신격이 자발적으로 떠난다. 셋째, ‘죽은자’의 죽음의 이유는 피살과 질병이다. 이때 홀로 남은 남성은 신변에 위험이 없으나, 여성은 신변의 위험으로 죽임을 당하거나 내쫓기고, 혹은 도망간다.

1. 서론

2. 여성 신격의 救藥旅行과 구약모티프의 서사화 양상

3. 남성 신격의 救藥旅行과 구약모티프의 서사화 양상

4. 신격의 차이에 따른 구약여행의 특징과 그 의미

5.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