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해서탈춤의 악사와 재인촌

  • 164

한국 가면극의 악사는 지역에 따라 무부(巫夫), 재인촌의 재인, 악사청의 악사, 농민, 연희자를 겸하고 있는 악사 등 다양한 모습으로 존재했던 것으로 나타난다. 서울의 본산대놀이는 총융청의 공인, 양주별산대놀이는 양주 관아의 악사, 송파산대놀이는 무부를 초청하여 삼현육각의 음악 반주를 맡겼다. 동래야류, 수영야류, 고성오광대의 반주 악기는 꽹과리, 징, 북, 장고 등이어서 농악기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악사는 농민이었다. 그러나 현재 통영오광대의 반주 악기는 꽹과리, 징, 북, 장고 등이어서 농악기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나, 연희자와 악사가 모두 원래 통제영의 취고수청에 속해 있던 악공들로서 무계 출신들이었으며, 반주 악기도 타악기 외에 관현악기도 연주했다. 통영의 경우는 가면극 연희자가 악사를 겸하고 있었는데, 악사가 원래부터 전문적인 연주자였던 것이다. 하회별신굿탈놀이의 악사는 농악대의 풍물재비들로서 농민이었다. 북청사자놀이의 악기는 퉁소, 북, 징이 위주인데, 악사는 마을 주민인 농민이었다. 해서탈춤은 연희자가 악기를 직접 연주하기보다는 전문적 악사인 재인을 초청하여 삼현육각의 음악 반주를 맡겼다. 그래서 서울․경기의 산대놀이와 해서탈춤의 악사는 전문적 연주자로서 연희자와 분리되어 있고, 앉아서 반주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들이 연주하는 삼현육각은 피리․대금․해금 같은 선율악기가 있어서 농악기로만 연주하는 것보다 음악성이 풍부하다. 산대놀이와 해서탈춤처럼 전문적 악사들이 앉아서 연주하는 음악 반주는 가면극의 춤사위, 노래 등에도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현전하는 가면극 가운데 양주별산대놀이, 송파산대놀이와 봉산탈춤, 강령탈춤의 춤사위가 뛰어나고 다양하게 세분되어 있으며, 삽입가요가 많으면서 그 가락이 좋은 것으로 나타난다. 황해도와 평안도에는 재인촌이 있었다. 그동안 이 재인촌의 유래에 대해 ‘양수척의 후예’라는 설과 ‘기생의 아들 집단’이라는 설이 제기되었다. 본고에서는 박은용이 조사한 평남 지방 재인촌에 대한 기록, 󰡔조선의 취락󰡕에 소개된 황해도의 구백정부락에 대한 기록, 그리고 재인촌 사람들의 여러 활동에 대한 논의를 통해 재인촌의 재인들이 양수척의 후예임을 입증했다. 특히 황해도와 평안도의 재인촌 사람들은 삼현육각의 악기 연주, 줄타기

Ⅰ. 머리말

Ⅱ. 한국 가면극 악사의 전반적 성격

1. 서울 경기도의 산대놀이와 별산대놀이의 악사

2. 경남의 야류와 오광대의 악사

3. 기타 가면극의 악사

Ⅲ. 해서탈춤 악사의 유래와 특징

Ⅳ. 악사가 해서탈춤의 연희에 끼친 영향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