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口碑 ‘訟事說話’의 재해석과 현재적 의미

  • 125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구비로 전승되어 오는 訟事설화를 고찰하여 이에 나타난 민중의식을 분석하여 그 현재적 의미를 찾아본 것이다. 그 결과, 송사설화에는 근대적 삼권분립이 이루어지지 않았던 전근대사회에서 지방관이 입법-사법-행정의 세 가지 영역을 두루 포괄하여 업무를 수행한 정황이 잘 드러나 있었다. 즉, 송사설화에는 사법적 재판만이 아니라 지방행정과 관련된 다양한 사건이 다뤄지고 있는데, 전승자들이 행정의 궁극적 가치인 공익에 대해 깊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는 구체적으로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 소득의 재분배를 통한 사회적 정의의 실현, 사회복지정책의 집행에 대한 다양한 요구로 나타난다. 또한 전승자들은 法理에 따라 분쟁을 처리하기보다는, 상대방에 대한 공감과 배려라는 情理에 의한 상호 이해와 타협을 소중히 여기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요컨대 구비‘송사설화’ 연구는, 단순히 과거의 삶을 반추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들이 주목해야 할 진지한 메시지를 불러내오는 소중한 작업인 것이다.

1. 머리말

2. 선행연구 검토와 문제 제기

3. 구비 ‘송사설화’의 재해석과 현재적 의미

4. 마무리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