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판소리의 다문화적 성격과 문화연변

  • 50

판소리의 다문화적 성격은 매체형식이 융합되는 방식을 통해 유추해볼 수 있다. 그것은 판소리가 다양한 매체형식들이 융합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형성되었기 때문이기도 하고, 현대에 들어 판소리가 다른 장르로 확충되거나 판소리 관련 장르를 파생시킬 때에도 그것이 현대 문화양식들과의 매체적 융합을 통해 이루어졌기 때문이기도 하다. 판소리는 원래 기층문화적 인식을 토대로 생겨난 것이었다. 그런데 판소리가 성장 발전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문화를 접촉하게 되었는데, 그것은 크게는 무가, 나례, 그리고 도시 유흥문화라고 할 수 있다. 무가 자체는 다문화적 성격을 부단하게 습합해온 장르였고, 나례와 접촉하면서는 궁정문화와 놀이문화적 속성을 융합할 수 있었으며, 도시의 유흥예술 장르들과의 접촉에서는 도시의 세련된 음악성과 풍류성을 장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렇게 다문화적인 요소들이 합성되어 형성된 판소리의 이질혼합성은 판소리로 하여금 현대의 다양한 문화양식들과 만나 무한하게 변종, 증식할 수 있는 연변 능력을 갖게 한 바탕이 되었다. 판소리는 소리, 이미지, 이야기, 그리고 표현방식이라는 네 가지 매체형식을 갖는다. 판소리는 현대의 다양한 문화양식들을 만나 이들 매체형식 각각을 유사성이라는 인식적 틀(은유)을 통해 변주하거나, 인접성이라는 인식적 틀(환유)을 통해 변주함으로써 새로운 장르를 만들거나 상대방 문화양식에 변화를 가한다. 그리하여 창극, 창작판소리, 가야금병창, 판소리 관련 영화, 드라마, 뮤지컬, 광고, 마당놀이 등과 같은 모든 판소리 관련 장르들은 네 가지 매체형식들의 은유적 또는 환유적 조합인 것이다. 오늘날 판소리적인 요소들은 현대 대중문화 속으로 깊이 침투하고 있다. 그것은 현대 대중문화가 추구하는 구술적인 속성과 엔터테인먼트적인 경향이 판소리의 추구방향과 상당히 밀접하게 관계되기 때문이기도 하고, 크로스오버와 퓨전화 등을 통해 경계를 흐릿하게 만드는 특성이 있는 현대 대중문화의 상황이 혼합과 융합을 기본속성으로 하는 판소리를 받아들일 수 있는 토양을 제공해주었기 때문이라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1. 머리말

2. 조선 후기 판소리의 문화융합 양상

3. 판소리의 현대적 문화연변 양상

4.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