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민담의 서사 구조적 원형과 그 의의

  • 113

본 논문은 한국 민담의 서사 구조의 원형과 그것이 갖는 의의를 밝히는 것에 주안점을 두었다. 한국 민담의 주인공에게 주어지는 행(+행)·불행(-행)을 수학적 값으로 정하여 Y축으로 놓고, 이야기의 화소 전개의 서사적 과정을 X축으로 놓았을 때 마치 삼각함수의 그래프와 같이 +와 -값을 일정하게 반복하며 오가는 곡선이 생성된다. 이러한 곡선의 모양은 N형이 연쇄되는 경우도 있고 M형이 연쇄되는 경우도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자를 N형 구조, 후자를 M형 구조로 명명하고, 이를 민담의 서사 구조로 보았다. N형 구조는 무언가 결핍된 상황에서 시작한 주인공이 시련을 이겨내고 행운을 찾는다는 결말을 가진 민담의 구조적 원형이다. M형 구조는 주인공이 욕심을 가져서 응징되거나, 불운의 연속으로 비극적 결말을 지니는 민담의 구조적 원형이다. 이러한 N, M의 굴곡이 적은 횟수로 등장하는 이야기일수록 단순한 서사 구조를 지닌 민담이며, 복잡한 서사 전개로 이루어진 이야기들은 N, M의 굴곡의 횟수가 많다. 즉, N형과 M형의 연쇄된 수가 많고 적음에 따라 이야기의 서사적 단순성이나 복잡성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민담의 서사 구조적 원형은 민담의 전승력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이는 담지자들의 무의식 속에서 그 민담을 기억하게 하는 골격의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굴곡의 정점과 저점에서 나타나는 화소의 등장은 민담의 흥미성을 이끌어내는 주된 요소라 할 수 있다. 또한 이는 담지자들이 숱하게 변이된 각편들을 별개의 민담이 아니라 하나의 민담으로 간주할 수 있도록 하는 준거가 된다고 할 수 있다.

1. 서론

2. 민담의 서사 구조적 원형

1) 표본 민담의 서사 단락

2) 그래프를 통한 서사 구조적 원형의 추출

3. 민담의 서사 구조적 원형의 의의

4.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