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KCI등재
학술저널
초록
이 글은 딸태몽담을 중심으로 현대 태몽담에 나타난 가족관계의 양상과 의미를 논한 것 이다. 우선 태몽담과 전통적인 가족관계의 관련성에 대하여 논하였다. 이는 과거시대부터 태몽담에 작용한 가족관계의 근간을 시사하는 동시에, 그러한 점이 여전히 현대 태몽담에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딸태몽담은 서사구조의 측면에서 태몽주체의, 태아상징에 대한 애착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태아상징의 측면에서 보면, 과거와 달리 남녀의 구분이 많이 없어졌음을 볼 수 있다. 여기에는 딸의 위상이 높아진 변화된 가족관계, 여성의 활동성을 기대하는 사회적 추세가 반영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현대 딸태몽담의 특징적인 면모를 변화된 가족관계와 관련시켜 논의하였다. 먼저 모녀관계는 어머니가 태몽을 주로 꾼다는 점에서 친밀한 관계성을 나타낸다. 또한 모 녀관계는 애착 관계로도 나타나는데, 이는 현대 사회 부모의 일방적인 자식 사랑의 의미도 있다. 모녀관계는 딸에 대한 전폭적인 이해와 진정한 사랑의 관계로도 나타난다. 한편 부녀 관계는 아버지가 딸태몽을 꾸게 된 점에서 진정한 부녀관계를 맺게 되었다는 것이 중요하 다. 이러한 점을 현대 사회의 재정립된 가족관계와 관련시켜 논의하였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2. 태몽담과 전통적인 가족관계
3. 딸태몽담에 나타난 가족관계
4. 나가는 말 - 현대 태몽담과 가족
참고문헌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16)
- 친딸과 양자로 형성된 가족관계 파탄과 지속의 주체
- 비교신화의 관점에서 본 설문대할망
- 산대탈의 전승 현황과 완보/말뚝이의 변천 양상 : 산대놀이의 변천 과정 재구를 위한 시론
- 삼바소(三番叟)의 형성과 배경 연구 : 미얄할미와의 비교적 관점에서
- 서사무가 <초공본풀이>의 짜임새와 미적 성취
- <시어머니 길들인 며느리> 설화에 반영된 현실과 극복의 문제 : 실제 시집살이 체험담과 비교를 중심으로
- 구비 설화에 나타난 가족 재생산과 혈연 문제
- <일월노리푸념>의 신화적 성격
- 현대 태몽담에 나타난 가족관계의 양상과 의미 : 딸태몽담을 중심으로
- ‘효/불효’ 설화에 나타난 가족 관계의 문학적 상상과 문화 문법에 관한 비판적 독해 : ‘불효를 이용해 효도하게 하기(431-1)’ 유형을 중심으로
- 겸암 설화에 나타난 형제 관계와 전승자 의식
- 김치(金緻) 인물형상화 방식에 나타난 <차사본풀이> 서술시각 : [해동이적·보] 소재 <김치설화>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김복진의 유성기 동화의 특징 : 옛날이야기의 수용 양상을 중심으로
- 마산오광대의 대본 분석을 통해 본 연희성
- 동아시아 신화에 나타난 여신창조원리의 지속과 그 의미 : 만주·한국 신화의 비교를 중심으로
- 代命型 서사무가들의 이본 간 관계 및 구조 결정 요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