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삼국유사 감통편을 일관성·응집성·결합의 차원에서 분석하여, 감통편의 담화기호학적 구조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감통편과 삼국유사 의 담론에 나타난 감응의 논리는 초월적인 주체를 매개로 인간이 추구하는 가치대상을 선한 것과 악한 것, 긍정적인 것과 부정적인 것으로 구분하고 강화하는 보상과 처벌의 논리를 서사화하고 있다. 감통편은 감응의 논리를 응집성의 층위에서는 금기와 위반, 결핍과 해소의 서사구조로 반복하고 있으며, 일관성의 층위에서는 강제와 금지를 축으로 하는 명령의 심층구조에 배치된다. 결합의 층위에서는 비유적 문채로 나타난다. 한편 감통편이 담론화하고 있는 감응의 논리는 감통편 이외의 다른 편들에서 서사구조의 층위에서는 일종의 모티프로 나타나고, 발화행위적 층위에서는 서술자의 논평 속에서 보편적인 논거로 활용되는 토포이로 나타난다. 따라서 감응은 감통편의 특수한 주제가 아니라 삼국유사 담론 안에서 일종의 인식틀처럼 작용하는 보편적인 논리로서, 감통편의 담론 구조는 감응을 주제화한 토포스적 구조라고 할 수 있다."
"1. 서론
2. 감통편의 담화기호학적 구조
3.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