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동북아 혼쥐설화 유형의 비교연구

  • 89

혼쥐설화는 잠자는 사람의 코에서 빠져나온 혼이 겪는 사건들을 주요내용으로 하는 일 군의 이야기로서, 고대인들의 영혼관은 물론 꿈이나 무의식 세계에 관한 민간신앙 및 원시 적 인식세계를 엿볼 수 있는 자료에 해당한다. 이를 살펴보기 위해 본고는 먼저 한국 자료 의 전승양상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동북아 각국의 자료와 비교하여 한국 혼쥐설화 유형 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고찰하고자 했다. 그 결과, 한국 혼쥐설화는 그 유형구조와 등장인물의 성격, 그리고 주제의식 등에 있어 서 일본, 북아시아 여러 민족의 자료와 공질성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했다. 이러한 공질성은 이들 민족들이 혼쥐설화의 근간이 되는 외재혼이나 복수혼 관념을 공유하고 있음을 시사한 다. 이러한 공질성과 함께 한국 혼쥐설화는 다른 민족에 비해 하위유형이 다양하게 발달되 어 있다. 다른 민족에게서 전승되는 꿈유래형과 득금형을 제외한다면, 도둑형이나 상사뱀형 같은 하위유형은 우리 민족만의 특별한 하위유형으로 평가된다. 외재혼의 형태도 다른 민 족은 비행성 곤충이 우세한 반면, 우리는 포복성 동물, 즉 생쥐가 주류를 이룬다. 또한, 등 장인물의 성격도 상당히 대비되는데, 특히 외재혼의 목격자의 경우가 그러하다. 우리 자료 에 등장하는 외재혼의 목격자는 협력자 내지 교정자의 역할을 수행하는 데 비해, 북아시아 에서는 외재혼이 노정을 방해하는 훼방꾼 내지 대립적 경쟁자의 면모를 보인다. 이러한 차 이점들은 결국 주제의식에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이며, 그 결과 잘못된 인성이나 습관을 고 쳐야 한다는 사회적 감계의 영역까지 이야기의 주제를 확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우리 자료에서 두드러진 이질적 면모들은, 곧 한국 혼쥐설화의 다양성과 생명 력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만하다. 이는 유사한 부류의 민간신앙과 영혼관념 를 공유하면서도, 우리의 사회적, 문화적 특성을 충분히 반영한 결과이다. 이 과정에서 한 국 혼쥐설화는 외재혼의 행태와 목격자의 역할을 창조적으로 재해석함으로써 한층 흥미로 운 민담의 면모를 갖추게 된 것으로 보인다. 그만큼 우리 민족은 이야기 생성능력에 있어 창조적임을 말해주는 부분이라 할 것이다. 특히, 우리 자료는 생쥐라는 외재혼의 모습, 생 쥐혼이 보여주는 동화적인 행동과 노정, 샤먼적 면모를 띤 협력자로서의 아내의 역할, 감계 적 주제의 수용 등에 있

1. 서론 2. 한국 자료 검토 3. 일본 자료 검토 4. 북아시아 자료 검토 5. 비교분석 6.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