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초록
본 논의에서는 한국연희사의 주요 연구 대상이며 영화를 통해 세간에 널리 알려진 궁중 광대놀음, 즉 배우희(俳優戱)의 연구사를 고찰하여 쟁점을 밝히고 전망을 제시하였다. 자료 의 발굴과 해석, 추론이 어떻게 진행되었고 선행 연구에 대한 수용과 극복이 어떻게 이루어 졌는지 통시적 흐름을 살펴보았다. 용어와 범주, 양식적 특성, 연희사적 전개 등을 연구사의 쟁점으로 설정하여 논문이나 저 서의 발표순으로 연구 성과를 검토하였고 마지막 장에서는 쟁점을 넘어 소통할 수 있는 통 합적인 전망을 제시하였다. 배우희의 연희사적 전개에 대한 전망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전문 예능인으로서 배우라는 직업군은 수천 년 동안 유지되었고 그들은 골계의 예능을 중심으로 노래와 춤, 악기 연주에도 능숙하였다. ‘배우들의 골계를 중심으로 하는 과백희’인 보편적인 개념의 배우희는 수천 년 전부터 형성되어 동아시아 보편의 공연문화로 전승되었 다. 중국에서 완성된 배우희 양식과 작품이 유입되거나 전파된 것이 아니라 문화사의 발전 단계에 맞게 공연문화의 관습을 공유했다고 할 수 있다. 동아시아의 보편성은 한문의 사용 과 그것을 통한 기록 문화의 전승에 있는 것이다. 언어를 통한 골계의 표현 형식은 독자적인 자국문화의 특성으로 규정된다. 한국에서는 보편적인 배우희의 전통을 전승하되 조선 전기에는 왕실 문화의 수요와 후 원에 힘입어 중세 궁정극을 성립시켜 150년 이상 동일한 양식적 특성을 유지하였다. 중세 궁정극은 중국 송나라의 잡극, 일본 중세의 노오와 교겐에 대응하며 각각 산대도감극, 경 극, 가부끼 등 연극 양식의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 선행 양식은 후발 양식의 형성에 영향을 준 것일 뿐 자체적인 발전과 쇠퇴의 과정이 전개되었다고 하겠다. 궁정 관객의 수요가 사라지고 후원이 끊기자 중세 궁정극은 사라졌지만 양식적 토대가 되었던 배우희의 전통은 변함없이 지속되었다. 그 결과 18~19세기 재담 공연의 양상에서 보이듯 민간의 흥행물로 유지되다가 20세기 초 근대적인 극장무대의 주요 공연종목으로 성 장하였다고 할 수 있다.
목차
1. 머리말
2. 용어와 범주
3. 양식적 특성
4. 연희사적 전개
5. 통합적 전망
6. 맺음말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0)
등록된 수록 논문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