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경흥우성(憬興偶聖)>조(條)의 대립적 구성과 신화적 이해

  • 20

이 글은 『삼국유사(三國遺事)』 &lt;경흥우성(憬興偶聖)&gt;조(條)가 관음보살과 문수보살 두 대 립적 인물이 등장하여 서사를 이끌어간다는 점에 착안하여, 그 신화적 이해를 모색하기 위 해 씌어졌다. 첫째, 하늘-아버지와 땅-어머니라는 견지에서 남신과 여신의 특성을 간략히 정리했다. 먼저, 남성은 머리이고 여성은 몸이라는 대립적 자질을 보이는 것을 필두로 하여, 차별성과 평등성, 지혜와 사랑[불교의 ‘자비(慈悲)’]을 추구하는 것으로 정리되었다. 둘째, &lt;경흥우성(憬興偶聖)&gt;조(條)의 관음과 문수가 서사에 관여하는지 살폈다. 먼저 이 조의 구성을 살핀 결과, [관음] 삽화가 학문적 성취를 이룬 데서 시작한다면 [문수] 삽화는 세속적 성취를 이룬 데서 시작하는 식으로 두 서사단락이 대립쌍을 이루었다. 다음으로, 두 삽화가 어떻게 연결되는지 살펴보았다. [관음] 삽화는 경흥이 지혜(智慧)를 내세워 생긴 문제 해결을 위해 감성(感性)을 보충하는 방법이 쓰인 데 비해 [문수] 삽화에서 는 교만한 마음이 들어 문제를 일으키자 혹독한 질책으로 문제를 깨우치게 했다. 다음으로, 전자가 해학을 통해 양자의 동화(同化)에 주목했다면 후자는 풍자를 통해 양자의 이화(異化) 에 주목했다. 끝으로, 경흥을 대하는 태도가 관음보살은 연민에 기반하는 데 비해 문수보살 은 시비(是非)를 가려내는 데 치중한다. 결국, 두 삽화는 먼저 지혜를 깨쳐준 후, 거기에 자 만하여 청정(淸淨)함을 잃은 데 대해 질책하여 다시 중심을 잡아주는 식으로서 서사가 통합 되었다. 셋째, 이야기 속에 담긴 현실 문제를 짚어보았다. 경흥은 신라와 백제 사이에서 고민하 는 가운데 처세(處世)와 처신(處身)이라는 현실적인 문제를 타개해나가는 서사였다. 또, 맨 끝에 일연이 마무리 진술과 찬시(讚詩)를 덧보탬으로써 신화적 통합과 현실적 타협을 이루 어냈다.

1. 문제의 제기

2. 천부(天父)와 지모(地母), 몸과 마음

3. &lt;경흥우성(憬興偶聖)&gt;조의 대립적 구성과 그 의미

3.1. &lt;경흥우성&gt;조의 대립적 구성

3.2. 관음(觀音)과 문수(文殊), 그 대립과 통합

3.3. 이야기 안팎의 조응(照應)

4. 마무리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