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현대 이야기판의 구연 양상과 구술문화적 의미 - 시합형 이야기판을 중심으로 -

  • 81

이 글에서는 전통적인 이야기 연행현장이 사라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최근 자발적으로 생성되고 있는 새로운 이야기판에 주목하였다. 현대의 새로운 이야기판의 형태는 할머니가 손주에게 편안하게 옛날이야기를 들려주는 전통 설화 구연 방식의 생활현장형과 이야기 대 회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이야기 경연을 펼치는 시합형이 있다. 이 중 정기적으로 개최되 는 시합형 이야기판 <전국 중ㆍ고등학생 이야기대회>와 실레마을 이야기잔치 <어린이 이 야기 겨루기>, <전국 이야기시합> 을 논의 대상으로 삼았다. 이 글은 전통 이야기판의 계승적 관점에서 시합형 이야기판에서의 설화 구연 양상과 특 성을 살피고, 지속적으로 형성되는 시합형 이야기판의 구술문화적 의미를 찾는 것이 목적 이다. 시합형 이야기판에서는 전통설화 구연과 다양한 변이 형태의 설화 구연 양상이 드러난 다. 전통설화 구연에서는 전통 이야기꾼의 대중과의 소통, 구연자들이 전통설화 가운데 전 설에서 서사의 참신성을 확보하려는 경향이 긍정적으로 드러났다. 구연자의 인위적이고 기 술적 표현 방식과 청중을 배제한 일방적 이야기판 운용 방식의 경향이 부정적으로 드러났 다. 다양한 변이 형태의 설화 구연에서는 구연자들이 설화 재해석을 통해 각색형, 조합형, 창작형 설화로 재구성하여 구연함으로써 전통이야기꾼의 재생자, 각색자, 합성자, 창작자의 역할을 계승하고 있다. 그리고 시합형 이야기판은 설화 구술문화 전통의 계승, 현장성이 살 아있는 연행, 유능한 이야기꾼 발굴ㆍ양성과 교류, 전승력 있는 새로운 스토리 발굴의 장으 로서 구술문화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시합형 이야기판은 아직까지 여러 개선사항들이 존재하기는 하지만 수동적으로 이야기 를 수용만 하던 향유자를 자발적이고 주도적인 창조자로 변화시켜내고, 이야기 주인으로서 의 주체성을 성장시켜 준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닌다.

1. 서론

2. 시합형 이야기판 개요

2.1. 시합형 이야기판의 내력

2.2. 시합형 이야기판 유형별 운영방식

3. 시합형 이야기판에서의 ‘설화’ 구연 양상과 특징

3.1. 전통설화 구연의 허와 실

3.2. 설화 변형의 다기화(多岐化)

4. 시합형 이야기판의 구술문화적 의미

5. 결론 - 시합형 이야기판의 문제점과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