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고난극복형’ <우렁색시설화>의 신화적 성격

  • 164
커버이미지 없음

본고에서는 용녀귀환설화가 삽화 형태로 포함된 ‘고난극복형’ 우렁색시 12편을 대 상으로 신화적 성격을 고찰했다. 용녀귀환 삽화가 포함된 고난극복형 우렁색시 설화 는 ‘초월적 능력을 갖는 용녀와 인간 남성의 혼인, 권력자의 횡포, 용녀의 초월적 능력 을 통한 문제 해결’이 작품 내적 질서를 통해 신화적 성격이 있음을 밝혔다. 본고에서 는 용녀인 우렁이의 수신적 성격, 신화적 맥락, 여신이 필요했던 가난과 미혼의 정황, 인간의 몸을 입은 용녀가 ‘시간성’을 통해 신성성을 드러내는 방식에 주목했다. 이를 통해 신이·풍요·환상·마법이 필요한 인간 존재의 한계적 상황에 대한 문학적 형상화 방 식을 논의했다.

1. 서론

2. 고난극복형 우렁색시설화의 서사 단락 분석

3. 신화적 성격과 그 함의

3.1. 용녀 우렁이의 신이성

3.2. 남성 뒤에 숨은 여신-목소리만 남은 신

3.3. 서기(瑞氣) - 신성의 기표

3.4. 가난?미혼-여신이 필요했던 정황

4.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