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제주도 신화에서 경합하는 가치의 재현 방식 - <할망본풀이>와 <문전본풀이>를 중심으로

  • 253

주인공이 뒤늦게야 출현하는 현상은 설화 문학에서 보편적이지 않지만 제주도 신 화에서는 간혹 나타난다. 본고는 &lt;할망본풀이&gt;와 &lt;문전본풀이&gt;에서 주인공의 지연 된 출현이 텍스트의 다른 요소들을 적극 소환하는 전반적 해석 과정과 관련이 있으며, 나아가 텍스트가 구성해내는 가치의 재현 방식을 규정하고 있다고 본다. 이를 위해 발 단부에서 텍스트에 등장하는 인물을 잠재적 주체로, 이후에 등장하여 수행에 성공하 는 인물을 실현된 주체로 구분한다. 본고는 두 주체의 가치가 &lt;할망본풀이&gt;에서는 저 승할망과 이승할망을 통해 ‘자연’과 ‘문화’로 재현되고 있고, &lt;문전본풀이&gt;에서는 남선 비와 녹디생인을 통해 ‘그들’과 ‘우리’로 재현되고 있다고 주장한다. 각 텍스트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의미항들은 대등한 것이 아니라 비대칭적이다. 각 각의 가치들은 다시 ‘위험과 안전’의 메타약호로 재해석 가능하다. 이때 위험은 주변적 가치를, 안전은 중심적 가치를 가진다. &lt;할망본풀이&gt;를 보건대 제주도의 출산·양육의 세계에서는 자연=위험=악, 문화=안전=선의 동일시를 읽을 수 있다. &lt;문전본풀이&gt;에 서는 가정과 가택의 문제에 대해 외부=그들=악, 내부=안전=선의 동일시를 추론할 수 있다. 이 위험은 없어지는 것이 아니라 관리되어야 하는 것으로, 상황에 따라서 위험과 안전의 관계는 전복될 수도 있다. 결론에서는 그러한 역동적 관계의 문화적 의의에 대해 다루면서 두 명의 주체, 혹은 복수 주인공이 위험과 안전을 경합하는 가치로 구 현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1. 서론

2. &lt;할망본풀이&gt;와 &lt;문전본풀이&gt;의 두 주체

2.1. &lt;할망본풀이&gt;, ‘자연’과 ‘문화’의 재현

2.2. &lt;문전본풀이&gt;, ‘그들’과 ‘우리’의 재현

2.3. 위험과 안전의 메타약호

3. 유동하는 경계, 관리되는 위험

4. 결론: 경합하는 가치를 재현하는 주체들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