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학술저널

영재의 이해와 교육 및 상담에 관한 연구

  • 160

21세기는 고차원적인 사고력과 창의력이 요구되는 시대이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고자 우리나라에서도 영재교육진흥법이 2000년 공포되고 2002년부터 시행, 2002년 한국영재교육학회를 창립, 2003년 우리나라 첫 과학영재학교 설립 및 시도 교육청 중심의 영재교육원 및 영재학급 가동, 2005년 영재교육진흥법 개정안이 국회통과 등 많은 노력이 있음은 바람직한 일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우리나라의 영재교육은 과학영재나 수학영재 그리고 예술영재 분야에 초점이 주어지고 있고, 이들을 위한 속진과 심화학습이라는 지적측면인 학습지도에 치우쳐 있다(송인섭  한기순, 2008). 교육(敎育)은 ‘敎’ 즉 교과지도와 ‘育’ 즉 생활지도와 상담의 두 축으로 이루어진다. 영재교육도 마찬가지이다. 영재의 올바른 전인교육을 위해서는 속진과 심화학습과 같은 학습적 지원뿐만 아니라 영재상담이라는 심리적 지원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즉 영재의 전인교육을 위해서는 물론 영재의 학습지원 분야도 더욱 많은 발전이 있어야 하지만, 영재들의 정서적·사회적 발달을 촉진해주는 영재상담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미성취 영재, 여자영재, 장애영재나 정서적·사회적 부적응 영재들을 위한 영재상담이 연구되고 그들을 위한 다양한 영재상담 프로그램들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유형근, 2009; 홍종관, 2005).

I. 연구목적 및 의의

II. 영재의 정의

III. 영재의 판별

IV. 영재의 특성

V. 영재의 학습지도

VI. 영재의 상담

VII. 영재의 교육 및 상담의 전망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