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교회개척에 대한 이론적 기초를 세우기 위해 교회의 의미와 교회개척의 정의와 중요성 그리고 교회개척의 원리를 살펴보았다. 그 세부적 인 내용으로서 교회의 의미에서는 교회의 어원적 의미와 교회의 특성적 의미 를 고찰하였다. 교회개척의 정의는 신앙적인 불모지를 복음으로 개간하여 부 름 받고 선택받은 자들을 모으는 것이다. 교회개척의 중요성은 교단의 발전적 차원에서, 복음 전파라는 대 사명을 감당하는 선교적 차원에서, 예수님의 재 림을 준비하는 종말론적 차원에서 참으로 중요한 것이다. 그리고 교회개척의 신학적 이해에서는 교회개척을 선교 신학적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교회개척에 대한 역사적 이해로써 구약시대의 이스라엘 민족적인 신앙 공 동체가 교회를 의미한다는 이해와 회당 중심의 신앙생활이 교회의 모습으로 이해할 수 있다. 신약의 교회개척은 예수 그리스도의 지상명령과 동일 선상에 서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사도들은 복음을 전하는 곳에 새로운 교회를 개척하여 세워나갔다. 또한 교회개척의 역사적 고찰에서는 바울의 교회개척 역사와 초대교회 시대와 중세, 근대 시대에 이르기까지 시대마다의 교회 개척 의 역사를 간략하게 살펴봄으로써 교회개척의 역사를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정리하였다. 이어서 한국교회의 교회개척의 역사를 시대별로 구분하여 정리 했다. 한국교회의 선교역사와 교회성장의 역사는 교회개척의 역사라고 볼 수 있다. 선교초기부터 교회개척이 시작되었고, 장로교의 네비우스 선교방식에 따른 교회개척이 대표적인 실례라고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한국의 경제성 장과 함께 한국교회의 교회개척의 눈부신 발전의 속도는 선교역사에 경이적 인 기록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교회개척의 역사는 1990년대 이후 로부터 급속히 둔화되기 시작했고, 그 결과 교회성장이 정체가 되면서 이제는 마이너스 성장이라는 위기를 가져왔음을 살펴보았다. 이와 같이 한국교회의 둔화와 마이너스 성장의 현실을 살펴 본 결과 한국교회의 교회성장이 둔화된 그 주된 원인이 교회개척이 예전보다 안 되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교회개척이 교회성장과 복음전파와 선교역사에 얼마나 중요한지를 이해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가 필요하다. 첫째, 교회의 의미와 교회개척의 정의, 그리고 교회개척의 원리와 신학적
Ⅰ. 들어가는 말
Ⅱ. 교회개척의 전제적 이해
Ⅲ. 교회개척의 역사적 이해
Ⅳ. 한국교회의 교회개척 역사
Ⅴ. 나가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