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의 실제에서는 크게 일반적인 상담과 전문적인 상담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복지 분야 사람들에게는 보다 전문적인 상담은 전문기관에 의뢰토록 하고 일반적인 상담에 치중하더라도, 사회복지실천의 접근은 점차 전문적인 역량을 발휘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며 사회복지의 전문성을 제고시키기 위해서 또는 새로운 사회적 욕구에 적절하게 대처하기 위해서 사회복지에서의 상담에 대한 비중이 더해지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고에서는 상담자로서의 자질향상 및 효과적인 상담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담자 자기이해, 상담자의 조건, 상담자 교육으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하였다. 상담자 자기이해에서는 첫째, 자신의 문제와 취약점, 앞으로는 어떤 노력을 해야 할 지에 대해서 알고 있어야 한다. 둘째, 상담기법을 일관되게 익혀야 한다. 셋째, 상담의 최종 목표는 내담자가 상담자를 필요로 하지 않는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담자의 조건에서는 첫째, 상담에 관한 제반지식과 경험, 기법들을 터득하고 있어야 한다. 둘째, 상담자의 자질에 관한 한 인격적인 면에 먼저 초점을 맞추어야한다. 셋째, 자기와 자신의 생활경험을 이해하고 이를 개념화 할 수 있어야 한다. 넷째, 상담자 자신의 갈등과 문제를 극복할 수 있어야 한다. 상담자 교육에서는 첫째, 철저한 훈련과정이 필요하다. 둘째, 상담자 자신이 치료를 받는 것이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셋째, 감독자 밑에서 철저한 상담 실습과 수퍼비젼을 받아야 한다. 넷째, 상담사례연구 발표 및 토론에 부지런히 참여해서 겸허하게 배우려는 자세를 갖추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담자 각자가 끊임없이 실력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훈련받는 자세를 유지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Ⅰ. 서 론
II. 본 론
III. 결 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