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노년을 위한 목회 현황을 점검해 보고 앞으로 교회가 노년 목회를 위해 담당할 역할과 방향을 정립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노년기의 특징, 노년기의 특성과 영적생활, 목회적 돌봄으로서의 과제 등을 살펴보았다. Erikson은 인간은 전 생애 기간 중 노년기에는 마지막 단계인 ‘통합과 좌절’의 단계를 거친다고 하였다. 이를 통해 노년기에 자신의 생애를 돌아보면서 나름대로 보람과 가치, 인생의 의미를 인식하게 되면 자아통합을 얻게 되고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좌절감이 나타난다고 하였다. 미국의 경우, 교회에 다니는 사람이 거주하는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혈압이 낮았고 그 지역에서 일어나는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안정된 사회적 요인으로서 교회출석이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를 통해 노후의 영적생활이 노후의 건강과 행복한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을 유추할 수 있게 해준다. 이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첫째, 노후의 특성상 노인들을 위한 목회에서 영적생활의 중요성 인식을 제고하고 활성활 할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하며, 둘째, 다양한 노인 목회 방법 등에 대한 개발 필요성을 제안한다.
I. 서 론
Ⅱ. 노인의 정의 및 특징
Ⅲ. 노인의 영적생활
Ⅳ. 노년에 대한 재발견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