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노인들의 일상생활동작(ADL)과 수단적 일상생활동작(IADL)을 기준으로 노인케어서비스시설의 기능, 운영역할의 중요성을 탐색해보고 노인케어서비스의 필요성을 경로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노인케어서비스의 기능, 노인케어서비스의 운영역할의 중요성이 노인케어서비스 실천개선 필요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케어서비스의 기능과 역할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운영주체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운영 역할이 형태면에서는 노인케어서비스의 전문성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노인케어서비스의 기능과 역할의 전문성이 노인케어서비스 개선활성화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인과적 관계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시설운영과 역할의 개선필요성을 분석하는 지표선정은 현재케어서비스시설을 이용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만족도 여부와 노인케어서비스운영프로그램의 기능과 역할의 전문성관리에 필요한 개연성을 입증하기 위한 실증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는 노인의 일상생활동작(ADL)과 수단적 일상생활동작(IADL)을 기준으로 노인케어서비스기능과 역할의 전문성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노인케어서비스의 기능과 역할의 행태를 전문화함에 따라서 노인케어서비스개선방향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Ⅰ. 서 론
Ⅱ. 노인케어서비스 이론적 배경
Ⅲ. 선행연구 및 분석의 흐름
Ⅳ. 실증적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