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정신장애인 가족교육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목 적 달성을 위해 가족교육의 어떠한 면에서 어떤 효과가 있어 태도 변화가 있었는지에 대해 세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고 해결하고자 순수 실험설계 연구방법을 시도하였다. 순수 실험설계 연구를 위해 충북 소재 사회복귀시설의 정신장애인 가족교육 참여자 10명과 가족교육 비 참여자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첫째, 가족교육프로그램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동질적 경향은 가족교육에 대한 이해, 태도, 임파워먼트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동질성이 입증되었다. 둘째, 가족교육 프로그램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사전 · 사후 차이는 가족교육에 대한 이해, 태도, 임파워먼트 모든 영역에서 실험집단 의 사전보다 사후평균이 통계적으로 높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효과가 검증되었다. 셋째, 가 족교육 자체 프로그램의 효과성은 가족교육에 대한 이해, 태도, 임파워먼트에 대해 비교 분석한 결과 실험 집단의 사전보다 사후평균이 통계적으로 높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효과가 검증되었다. 이상의 순수 실험설계 연구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정신장애인 가족교육의 프로그램 개발과 정신장애인 가족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하는데 뒷받침할 만한 구체적인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분석
Ⅴ.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