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의 음주는 전문가나 가족, 그리고 가까운 사람들도 종종 간과하는 숨겨진 문제이다. 노인의 음주는 노년학이나 중독관련문헌에서 조차 언급하는 경우가 드물고, 극히 일부 연구들이 노인의 음주문제와 예측 변수를 조사한 바 있으며, 음주문제의 조기 식별이나, 아웃리치, 그리고 지원정책 등에 대한 효력을 조사 한 연구는 거의 없다. 특히 여성노인의 경우 고독감과 우울증을 야기할 수 있는 다른 상실감에 직면하거 나 배우자 보다 오래살기 때문에 음주의 위험은 남성노인이나 젊은 성인 여성에 비해 더욱 심각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런 위험 때문에 여성노인의 알코올 사용은 남성노인이나 젊은 성인 여성에 비해 일반적 으로 낮은 수준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여성노인의 삶속에 경험하는 음주문제는 무엇인 가?”에 초점을 두고 음주 경험이 있는 여성노인과의 상담을 통해 이들이 회고하여 보고하는 언어적 자료 를 현상학적으로 분석하여 음주와 관련하여 이들이 체험한 내적 경험의 본질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8명의 연구 참여자와의 인터뷰를 분석한 결과 ‘허출함’, ‘ ’, ‘신풀이’, ‘커지는 맘’이란 4가지 의미주제를 발 견하였다. 여성노인의 음주행위로 인해 일상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회 기능적 문제, 행동상 문제, 가 족 및 대인관계상의 문제 등 여성노인의 음주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환기시키고 적합한 사회복지서비스로 의 연계검토의 시작점이 되고자 하였다.
1. 서 론
Ⅱ. 문헌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