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부전>이 설화를 소설화한 작품이라는 점은 이미 지적된 바 있다. 어떤 설화가 <흥부전>의 근원설화였을까 하는 근원설화 탐색의 논의에서부터, 그러한 근원설화를 바탕으로 어떠한 소설적 변모를 보이는가 하는 장르적 성격 비교의 논의에까지 이르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흥부전>이 설화를 바탕으로 형성된 작품이라는 점은 의심의 여지가 없게 되었다. 또한, <흥부전>은 판소리의 형태를 거친 것임이, 고정체계면과 비고정체계면이라는 분석틀을 통해 입증된 바 있다. 이에 따라, <흥부전>은 설화가 판소리의 형태를 거쳐 소설화되었다는 데 잠정적으로 합의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판소리는 무가 및 굿에 그 기원을 둔 것임이 여러 모로 입증되고 있어, <흥부전> 형성의 문제가 소재적 측면에서만 간단히 논의될 수는 없는 것임을 알게 한다. 그 담당층과 음악적 특성뿐 아니라, 구연 형태의 면에서도 판소리가 서사무가에 기원을 둔 것임이 논증된 바 있으며, 풀이와 놀이라는 굿의 구조 자체가 <변강쇠가>에 긴밀히 대응된다는 논의가 있었다. 후자의
1. 서론
2.<흥부전>의 성조신앙적 바탕
3. <흥부전>과 <성조가>의 관련양상
4. <흥부전>의 문학적 형상화에 있어 성조신앙·<성조가>의 기능과 의미
5.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