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노래의 생명성과 민요 연구의 현장 확장

  • 62

구비문학 연구의 새로운 동향의 하나로 현장론적 연구를 들 수 있다. 최근에 속속 발표되고 있는 구비문학 분야의 석박사학위 논문들 다수가 현장론적 연구를 표방하고 있다는 사실이 좋은 보기이다. 󰡔인물전설의 의미와 기능󰡕에서 현장론적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실제 연구가 이루어진 이래, 「민속연구의 현장론적 방법」이 독자적인 연구방법론으로서 본격적인 논의가 시작되고, 이어서 󰡔설화의 현장론적 분석󰡕을 비롯한「전남지역의 들노래 연구」, 「무가의 작시원리에 대한 현장론적 연구」, 「경기도 도당굿 무가의 현지연구」 등 박사학위 논문으로서 무게와 깊이를 갖춘 현장론적 연구들이 한국구비문학 연구사의 한 분기점을 이룰 정도로 진전된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

1. 민요를 보는 현장과 민요의 현장

2. ‘민요를 보는 현장’의 모순과 현실인식

3. 통시적 현실인식과 공생적 세계관

4. 민요의 생명성과 식물의 신비한 생태

5. 민요의 음악적 기능과 농작물의 성장

6. 모내기 소리의 사설과 벼의 생육 상태

7. 모내기와 논매기에 따른 민요의 구실

8. 식물의 인격성과 공생적 세계관에 따른 쟁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