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저널
구비문학은 전승집단이 향유하는 문학이라는 점에서 집단의 문화나 가치관이 반영되게 마련이고 언어공동체의 전승기반 위에서 존재하는 문학이기에 민족적 성격을 강하게 가진다. 그러면서도 기록문학에 비하여 개인의 특수한 정서보다도 집단의 보편적 의식을 담고 있기에 인류 공통의 보편성을 띄우는 것도 사실이다. 다시 말해서 구비문학은 세계적인 보편성과 민족적 특수성을 공유하고 있기에 두 나라 문학을 대비 연구하는 비교문학적 연구의 시각이 기록문학보다도 더욱 긴요하다고 본다. 한편 비교문학은 국적이 다른 두 나라 사이의 문학을 비교 연구하는 문학 연구를 말하는데 역사적으로 문화교류가 있었던 나라 사이에서 주고 받은 영향을 측정하는 실증적 학문으로서의 비교문학과 영향관계를 고려하지 않고 문학 생산의 조건과 문학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비교하는 일반문학,혹은 세계문학의 관점에서의 비교문학이 있다.
1. 머릿말
2. 신화 비교 연구의 과제와 방향
3.구비서사시 비교연구의 과제와 방향
4. 민담 비교연구의 과제와 방향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