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비설화 텍스트에 대한 언어학적 접근은 다양한 방식으로 가능하지만, 본 발표에서는 구비문학 자료를 텍스트의 개념으로 이해하기 때문에 음운이나 단어, 문장을 대상으로 다루는 일반적 의미의 언어학적 방법론을 피하고 범위를 텍스트로 확장시켜 접근하는 데 유용한 텍스트 언어학과 화용(행)론, 그리고 인지문법, 인지 의미론, 나아가 텍스트학이라는 방법론을 사용하고자 한다. 텍스트 언어학의 핵심은 능력 있는 언어 참가자가 구체적인 통보상황 (Kommunikationssituation)에서 대개 무의식적으로 처리하는 텍스트 구성(Textkonstitution)과 텍스트 수용(Textrezeption)의 일반적인 조건들을 기술하는 일이다.
1. 서론
2. 기본 개념의 소개
3. 자료의 소개
4. 텍스트 분석의 一例
5. 앞으로의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