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사설화는 사찰이 세워지기까지의 내력을 풀어주는 불교적인 해석물이다. 사원연기설화, 사찰연기설화, 불사연기설화 등의 명칭으로 불리워 왔으나 ‘연기(praitityasmutpada)’라는 용어의 불교적인 의미역이 넓어서 업감연기, 뢰야연기, 진여연기, 법계연기 등의 4대 연기로 나누어지며 불교사상의 핵심이기도 하다. 이 용어가 사찰이 세워지는 내력에 관한 이야기의 명칭으로 사용하기에는 불교적인 의미가 강하여 본고에서는 ‘창사설화’라는 용어를 사용하고자 한다.
Ⅰ. 서 론
Ⅱ. 용신창사설화의 형성과 유형
1. 전래의 용신신앙과 제의 양상
2. 용신창사설화의 형성과 유형
Ⅲ. 용신창사설화의 전승과 신앙적 의미
1. 용신창사설화의 전승
2. 용신창사설화의 신앙적 의미
Ⅳ.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