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현실에서 부딪치고 있는 욕망과 갈등과 삶의 방법 등을 문학작품을 통하여 살펴보면서 삶의 실상을 터득해 나가는 일은 문학작품을 읽는 즐거움 중의 하나인데, 서사장르나 희곡장르의 문학작품을 삶의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할 때 그 분석은 자연히 등장인물의 성격분석으로 귀착된다. 문학은 궁극적으로 인간학이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판소리 <水宮歌>에 등장하는 별주부와 토끼의 욕망과 갈등과 삶의 방법을 검토해 보고 이들을 종합하여 인물 평가를 내려 보기 위해서 시도되었다. 별주부와 토끼는 민족의 심상에서 여과된 인간상이다. 오랜 전승기간에 걸쳐서 민족의 심상에 의해서 혹은 거기에 덧붙여지기도 하고 혹은 거기에서 깎여지기도 하면서 형상화되고 있는 인간상이다.
1. 머리말
2. 理想的인 世界의 모습
3. 生命의 危機에 대한 對應
4. 僞計와 直言에 대한 對應
5. 맺는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