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무가 연행의 특성 : 평택 강신무 노재용 구송 무가를 중심으로

  • 27
커버이미지 없음

무가는 구비문학 중에서 특이한 성격의 갈래이다. 설화나 민요에 비해 구연.구송의 보편성이 떨어지며, 판소리와 유사하게 구송의 전문성을 가지고 있으나 신과 인간과 관계가 있는 굿판에서 구송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무가의 특성은 무가가 연행되는 상황에 대한 정밀한 고찰을 필요로 한다. 무가를 연행하는 무당은 설화나 민요보다는 무가 사설에 임의의 변개를 가할 수 있는 범위가 적으며, 굿판이라는 특수한 상황은 무가 사설에 일종의 엄격성을 요구한다.

Ⅰ. 머리말

Ⅱ. 노재용 구송 <바리공주>의 연행 양상

1. 조사 자료의 대비

2. 망자천도기원 대목의 변이 의미

3. 축원 대목의 변이 의미

4. 변이의 의미와 원인

Ⅲ. 무가 연행의 요건

1. 전승축과 개성축의 작용원리

2. 제의축과 놀이축의 작용 원리

Ⅳ. 맺음말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