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저널
함경도 무속 연구는 참으로 어려운 점이 많다. 남북분단의 상황으로 인해서 현장조사를 할 수 없다는 점이 치명적으로 연구의 장애가 된다. 그에 대한 대안으로 일제시대에 조사된 무속자료와 월남한 함경도 무녀와 무당을 토대로 조사된 자료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그런데 후자의 경우에도 대부분 무녀가 사망했으므로 기왕에 조사된 자료조사 보고서에 의존해야 하니 자료 자체의 어려움이 연구를 할 수 없게 한다. 함경도 무속연구는 이러한 자료의 제약에도 불구하고 매우 소중하다. 함경도 무속 연구가 소중한 이유는 함경도 무속의 정체성 때문이다. 함경도 무속조사는 대부분 함경남도 함흥에 집중되어 있다. 그러니 함경북도 무속의 실정이 어떠한지 알기 어렵다
1. 머리말
2. <도랑선배,청정각시노래>의 자료 제시와 주석
3. <도랑선배,청정각시노래>의 신화적 성격
4. 함경도와 제주도의 무속서사시 비교
5. 맺는말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