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가정에서 생활하면서 미래에 거주시설 이용을 구상하고 있는 성인 지적장애인을 대상 으로, 불가피하게 가정을 떠나야 하는 경우 그들이 중요하게 생각하여 선택하기를 원하는 거주시설 의 특성과 그 모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가정에서 생활하는 성인 지적장애인을 대상으 로 Q방법론을 활용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성인 지적장애인 당사자들이 거주시설 서비스를 선택하는 유형의 특성은 다섯 가지 로 추출되었다. 다섯 가지 유형의 전체 설명력은 48%였으며, 이 중 유형 1은 15%, 유형 2는 10%, 유형 3은 9%, 유형 4는 7%, 유형 5는 7%를 차지했다. 유형 1은 개인의 자율성을 중시하는 유형, 유형 2는 지원서비스를 중시하는 유형, 유형 3은 인간관계를 중시하는 유형, 유형 4는 운영 신뢰를 중시하는 유형, 유형 5는 외부와의 교류를 중시하는 유형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거주시설 개편을 위한 장애인복지법 개정 이후에 구체적인 후속 작업이 진행 중인 시점에서 가정에서 생활하는 성인 지적장애인 당사자가 요구하는 다양한 미래의 거주시설유 형 및 그 실천적 모형을 제안하는 논리적 근거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1. 서론 2. 이론적 검토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