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장애인들의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의 동태적인 변화와 그 집단 유형을 파악하고 하위집 단별 유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에 서 실시한 ‘성남시 장애인 권리증진을 위한 장애인복지정책(장?단기계획) 수립 연구’의 자료를 활용 하였으며, 총 188명의 자료를 잠재계층분석과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 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의 사회자원 이용 유형은 사회참여지원서비스 집중형, 경제지원서비스 집중형, 의료서비스 집중형, 생활지원서비스 집중형으로 유형화되었다. 둘째, 네 잠 재계층으로 구분된 ‘사회참여지원서비스 집중형’, ‘경제지원서비스 집중형’, ‘의료서비스 집중형’, ‘생 활지원서비스 집중형’을 구별하는 요인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 장애인의 사회복지서비스 이용 을 결정하는 데 있어 주요하게 작용하는 요인으로는 연령, 성별, 교육수준, 가구소득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자원이용 유형이 장애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 한 결과, 의료서비스 집중형에 비해 사회참여지원서비스 집중형이 삶의 질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장애인의 사회자원 이용의 유형에 따른 체계적 개입 방안을 논의하고 장애인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한 실천적 개입 방안을 제언하였다.
1. 서론 2. 문헌고찰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