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1071.jpg
KCI등재 학술저널

중증장애인거주시설 생활재활교사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태체계 변인을 중심으로 -

  • 105

본 연구는 중증장애인거주시설 생활재활교사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변인을 탐색하 여 생활재활교사의 행복한 삶을 위한 이해를 돕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유기체 변인인 생활재활교사의 연령 및 학력의 경우, 연령은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력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미시체계 변인인 생활재활교사의 결혼, 종교, 경력, 가족적 지지의 경우, 결혼과 가족적 지지는 행복감에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종교와 경력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중간체계 변인인 시설거주인과 상호작용의 경우, 정서적 상호작용이 생활재활교사의 행복감에 가장 큰 영향 을 미쳤으며, 언어적 상호작용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넷째, 외체계 변인인 기관 환경의 경우, 직무 만족도가 생활재활교사의 행복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승진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다섯째, 생태체계변인을 단계별로 독립변수를 투입하여 위계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족 적 지지가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을수록, 시설거주인과의 정서적 상호작용이 높을수록, 연령이 높을수록 생활재활교사의 행복감도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