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1075.jpg
KCI등재 학술저널

일상생활 특성이 지체장애인의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 장애수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245

본 연구는 장애수용이 지체장애인의 생활만족에 어떤 조절효과를 가지는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 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에서 실시한 장애인고용패널조 사의 4차년도 원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본 연구대상에 해당하는 지체장애인 2,216명의 자료가 분석 에 사용되었다. 독립변수의 주효과 검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조절효과검증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에 기초한 Aiken과 West의 조절효과 분석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체장애인은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은 경우, 타인의 도움이 필요 없을수록, 종교가 있는 경우, 유배우자, 근로소득이 있고, 최종학력 이 높을수록, 남성인 경우 생활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체장애인의 장애수용 수준이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장애수용 요인의 주효과가 입증되었다. 셋 째, 장애수용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장애수용 수준이 높은 집단에서는 일상생활에서 타인의 도움이 필요한 수준이 높아질 때 생활만족이 완만하게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지만, 장애수용 수준이 낮은 집단은 일상생활에서 타인의 도움이 필요한 수준이 높아질 때 생활만족의 차이의 변화가 상 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즉, 일상생활에서 타인의 도움이 필요한 정도가 지체장애인의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장애수용이 조절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지체 장애인의 생활만족 향상을 위한 정책적?실천적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