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우리나라 국민기초생활수급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전반적인 의료서 비스 및 미충족 의료 현황을 살펴보고, 미충족 의료에 미치는 결정요인을 밝히고 자한다. 또한 이들을 위한 필수 의료서비스 지원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1년 장애인실태조사』조사대상자 중 만 19세 이상의 기초생활 수급 장애인 801명을 분석한 결과, 의료 미충족율은 연령, 주관적 건강상태, 일상 생활 수행정도, 장애종류, 혼자외출 가능 여부, 외부활동 불편 그리고 교통수단 이 용 불편 요인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를 종합하여, 미충족 의료 결정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개인의 건강 상태, 장애종류 및 외부활동 가능정도에 따라 미충족 의료가 결정될 확률이 달라 졌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 유형과 수준을 고려한 서비스의 제공, 저소 득 장애인의 자립을 돕는 경제적 지원 노력의 강화, 만성질환 관리서비스 등 이들 을 위한 보건정책 수립을 위한 국가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자료와 분석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