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장애인 의무고용 민간기업체 중 장애인을 1인 이상 고용한 기업 체를 대상으로 장애인 고용률 달성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파 악하고자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4년 기업체 장애인 고용실태 조사’자료를 분석자료로 활용하여 고용주지원제도에 대한 인지요인, 장애인채용지 원서비스요인, 장애인고용만족도요인 등의 변수가 기업체의 장애인의무고용률 달 성 여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고용주 지원제도 인지요인에서 자회사형 표준사업장 설립 지원과 연 계고용에 따른 부담금 감면 인지가 장애인의무고용률 달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 고 장애인고용으로 도움이 될수록 장애인의무고용률 달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 는 반면, 장애인근로자에 대해 만족할수록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아울러 장애인채용서비스 지원제도에서는 장애인 취업알선이 장애인의무고용 률 달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업체가 장애인 고용장려금 지원, 재택근무 지원 등의 제도에 대해 인지할수록 장애인 의무고용률 을 달성하는 데 오히려 긍정적이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기업체의 장애인의무고용률 달성을 위해서 장애인 고용확대를 위한 정책적 접근은 기업의 장애인고용상태 및 장애인의무고용률 달성 여부에 따라 차별적으로 행해져야 하며, 기업들의 장애인의무고용 달성을 위해 기 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는 제언을 도출하였다.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