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논문
학술저널

한자음 -l 운미 연구의 성과와 과제

간행물 정보
  • 이용수 68
131013.jpg

키워드

초록

현대 표준 중국어에는 소위 “입성”이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중국 각지의 방언들에는 여전히 다양한 형태로 입성이 존재하고 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官話方言 : 소수지역에 입성이 존재, 그중 일부는 -ʔ吳方言 : -ʔ湘方言 : 입성은 있으나 喉塞韻尾가 없음閩方言 : -p, -t, -k 와 -ʔ粤方言 : -p, -t, -k客家方言 : -p, -t, -k贛方言 : -t, -k晉語 : -ʔ徽語 : -ʔ平話 : -p, -t, -k 이 중 粤방언에서 보이는 입성의 형태는 현대 중국어 표준어에도 역사적으로 존재하였던 모습인

목차

1. 들어가며

2. 서로 다른 견해들

3. 서로 다른 견해가 생기는 원인들

4. 나오며

참고문헌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0)

등록된 수록 논문 정보가 없습니다.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