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황 이래 중국의 경제적 위기는 민족공업의 쇠퇴와 농촌경제의 파탄으로 나타났으며, 이에따라 국민정부는 경제 구제 정책에 본격적으로 나서지 않을 수 없었다. 이는 정치적으로 소비에트의 혁명 대상지인 농촌을 확보함으로써 소비에트에 대한 경제적, 정치적 우위를 확보하고자 하는 시도인 동시에, 일본의 침략정책에 대비하기 위한 항전의 물적 기초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러한 의미에서 외교정책의 협조 대상국은 당연히 영국과 미국일 수 밖에 없었다. 中日戰爭 직전기 중국의 외교정책 수립과 실천을 둘러싸고 국민정부 내부에서는 歐美派와 對日和解派가 대립하고 있었다. 전자의 그룹은 排日派라고도 불리웠는데, 여기에는 재정부장 宋子文을 비롯하여 주프랑스공사 顧維鈞, 주러시아대사 顔惠慶, 立法院長 孫科 및 王正廷, 王寵惠, 劉文島, 諸昌年, 吳凱聲, 王廷璋이 속해 있었다. 후자는 親日派로도 불리웠는데, 여기에는 汪精衛를 비롯하여 黃郛, 吾震修, 李擇一, 殷汝耕, 袁良, 唐有任, 陳儀, 楊永泰, 張群, 韓復榘 등이 있었다. 1931년 9․18사변, 1932년 만주국 성립을 계기로 중국 전역에서는 광범위하고 격렬한 배일운동이 전개되었는데, 특히 민족자본가들은 日貨排斥運動과 國貨獎勵運動을 선도함으로
序論
1. 9․18事變 이후 國民政府의 排日政策
2. 中日經濟提携論의 經濟的 基礎
3. 中日經濟提携論과 중국 外交路線의 변화
4. 中日經濟提携論과 중일 경제의 밀착
結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