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1014.jpg
KCI등재 학술저널

조사 ‘了’의 용법 연구

  • 76

중국어의 조사 ‘了’ 는 동태(動態)조사와 어기(語氣)조사로 구분한다. 일반적으로 동사 뒤에 오는 것을 동태조사라고 하며 ‘了₁’로 표시하고, 문미에 오는 것을 어기조사라고 하며  ‘了₂’로 표시하고 있다. 중국어의 조사 ‘了’ 는 의미나 용도에 있어 한국어의 실현을 나타내는 ‘았, 었’과 유사한 점이 많아 쉽게 생각할 수 있으나, 양자 간에는 상이한 점이 다소 존재하여 중국어를 배우는 학생들이 모국어의 영향을 받아 잘못 표현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심지어 “중국 국내의 조선족은 대학생이라도 ‘了’를 오용하거나 사용하지 않는 정황이 있다”는 조사 결과가 있을 정도로 소홀히 할 수 없는 부분이다. 우리말에 “아 다르고 어 다르다”는 말이 있는데 어기조사는 말하는 사람의 감정이나 의중을 표현하는 것으로 정확하게 이해하고 사용하지 않으면 상대방에게 의사가 잘 못 전달되는 실수를 범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조사 ‘了’의 쓰임에 대해 중국인들은 매우 간단하다고 느끼나, 중국어를 배우는 외국인들은 ‘了’의 다양한 쓰임으로 인해 학습에 많은 어려움을 느끼고 있으며, 또한 잦은 오류를 범하고 있다. 본 논문은 현대 중국어 조사 ‘了’의 용법과 특성 분석을 통하여 중국어 학습자로 하여금 동태조사와 어기조사로 쓰이는 조사 ‘了’에 대하여 정확하게 인지시키고자한다.

Ⅰ. 들어가는 말

Ⅱ. 동태조사 ‘了’의 역할

Ⅲ. 동태조사 ‘了’의 위치

Ⅳ. 동태조사 ‘了’를 쓸 수 없는 경우

Ⅴ. 어기조사 ‘了’의 역할

Ⅵ. 형용사와 어기조사‘了’

Ⅶ. 동태조사 ‘了’와 어기조사 ‘了’

Ⅷ. 나오는 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