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1016.jpg
KCI등재 학술저널

欧阳修与禅宗

  • 14

만당오대를 지나 점차 심화되던 유, 불, 도 삼가의 융합은 송대에 이르면 거스를 수 없는 하나의 역사적인 조류가 된다. 이러한 현상은 송대의 사대부문화와 선종사원문화와의 결합을 가속화시켰고, 이로써 '儒者禪化'와 '禪者儒化'의 현상이 보편화 되었다. 게다가 송초 황제들의 선종에 대한 중시아래, 선종이 신속히 발전하면서 송대불교의 주류가 된다. 당시에 비록 신유학이라 불리는 이학이 크게 흥성하였으나, 그러나 선종 각파의 흥성과 禪風의 다변화는 선종내부에 새로운 활력을 불러왔으며, 이로써 당시 문단과 시단에 광범위한 영향을 끼치게 된다. 이러한 사상적인 영향아래 송대 排佛의 대표자라 할 수 있는 구양수도 당시 고승대덕들과 밀접한 왕래를 가졌다. 그 스스로 선종사상을 학습하기도 하였으며, 특히 말년에 이르러 선종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였다. 그의 이러한 태도는 선종의 사회적인 지위를 제고하는데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으며, 또한 선종이 사대부들에 대해 영향을 확대하는 계기가 된다. 구양수는 인생에 있어서의 힘든 고달픔을 선종의 인생관으로 극복하려 하였던 것이다. 고로 그에게 있어서 선종사상은 하나의 정신적인 기탁처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그의 태도는 송대 선종의 발전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왕안석, 소식, 황정견 등 송대의 대표적인 시인들에게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정도의 차이가 있었지만, 모두 구양수처럼 시기에 따라서 外儒內佛의 전철을 밟았던 것이다.

1. 序论

2. 从斥佛到学佛

3. 方外之交

4. 灰心默坐

5. 结论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