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요김대산동지역 문인시용운연구

  • 0
131026.jpg

《全遼金詩》에 수록된 山東지역 시인의 시는 모두 3398수 약 3703개의 韻段이 있다. 그런데 이 가운데 道士들의 시가 차지하는 비율이 상당히 높은데, 이는 이 시기 山東지역이 문인들의 시보다 종교적 색채의 시가가 주류를 이룬다는 의미이다. 특히 全眞七子의 시가 두드러지게 많은 것이 이 지역의 특징 가운데 하나이다. 全眞七子 시의 특징에 대해서는 이미 연구된 것처럼 두드러진 특징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각 韻部에서 사용되는 韻字가 비교적 평이하다는 점, 詩歌의 체제상 자주 보이지 않는 藏頭拆字詩, “攢( )字”형 등 독특한 韻例가 많이 나타난다는 점, 近體詩에 仄聲韻이 많이 보이는 점 등이다.1) 그러나 遼金代 山東지역에서 이들 道士와 소수의 승려를 제외한 순수 문인들의 시가 用韻은 어떤지 아직 연구된 바 없다. 이들의 시도 全眞七子와 비슷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면 이러한 특징들을 遼金代 山東지역의 보편적인 특징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순수 문인들의 用韻이 全眞七子와 다르다면 어떻게 다른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1. 이끄는 말

2. 陰聲韻의 用韻 특징

3. 陽聲韻의 用韻 특징

4. 入聲韻의 用韻 특징

5.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