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1027.jpg
KCI등재 학술저널

한 중 신시대의 변해가는 혼인문화 고찰

  • 133

기존의 인류를 지탱하게 했던 수많은 개념이나 규범들이 변해가듯이 결혼관 역시 지속적으로 변화를 거듭할 것이다. 결혼과 관련하여 고착화된 규범들이 변화 없이 존속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일반론에 기초하여 기존 결혼 문화의 대안으로 빠링허우들이 선택한 새로운 형태의 혼인문화인 뤄훈(裸婚)을 초래한 중국사회의 제반 현상들에 논의의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더불어 중국 빠링허우와 동일하게 경제적 부담에 힘들어 하는 한국 신세대들의 결혼 풍속도를 연계하여 고찰함으로써 혼인문화의 변화가 중국뿐만 아니라 한국의 신세대들에게도 공통적인 현상임을 확인하게 될 것이다. 이를 통해 한 중 양국의 신세대간 이해의 폭을 넓히는 실마리를 제공하는 동시에 양국 문화의 변화 양상을 살피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一. 들어가는 말

二. 드라마 <裸婚时代>의 소개와 주요 모티브 분석

1. 드라마 <裸婚时代>의 개요와 모티브

2. 드라마 <裸婚时代>의 주요 모티브 분석

三. 裸婚으로 내 몰리는 한 중 신세대들

1. 변해가는 신세대들의 애정 혼인관

2. 裸婚을 부추기는 감당하기 힘든 주택가

3. 파혼과 죽음을 부르는 과도한 결혼 비용과 혼수

四. 나오는 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