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진남북조 시대는, 중국 동한 말기에 끊임없는 전쟁이 이어지던 시 기로, 三國이 분립되었다가 다시 十六國으로 나누어지고 남북쪽에서 여러 왕조가 교체되었던, 혼란과 분열이 장기간 지속되었던 시기이다. 통치계급 내부에서 난이 일어나고 소수민족들은 정권 탈취 분쟁을 일으키기도 하였다. 漢代이래로 전통적으로 내려오던 유가 통치 이념 도 붕괴되고 문화적 제도도 쇠약해졌다. 그러나 이러한 혼란 속에서도 경제 발전은 진행되었고, 거대한 변화 의 흐름 속에서 사상과 학술의 형태도 새롭게 정비되었다. 현학적 철학 풍이 일어났는가 하면 자유롭고 개방적인 사상이 치닫기 시작하였으며 불교가 전입되고 청담풍이 유행하였다. 특히 양자강 유역에서는 남쪽 으로 이주한 중원 백성들이 모이면서 민족 간 문화 교류도 활발히 진 행되었다. 이러한 일련의 변화들이 중국의 학술과 문예가 발전하는데 촉진제 역할을 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당시의 특징에 관하여 宗白華와 森三樹三郞은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1. 서론 2. 위진남북조시대 品評풍조와 문학?예술 3. 《詩品》, 《書品》, 《畵品》개요 4. 詩·書·畵품평기준 ‘生命力’ (1)《詩品》의 ‘氣, 情, 骨’ (2)《書品》의 ‘神化’ (3)《畵品》의 ‘氣韻生動’ 5. ‘生命力’과 ‘和’ (1)《詩品》의 ‘文質’ (2)《書品》의 ‘工拙兼效’ (3)《畵品》의 ‘力??雅’ 6.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