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二李詞’의 감정어 활용 특질 小考

  • 37

사람의 감정에 대해《禮記·禮運》에서 “喜怒哀懼愛惡欲, 七者弗學而能.(喜·怒· 哀·懼·愛·惡·欲, 이 일곱 가지 감정은 배우지 않고도 능히 표현해 낼 수 있다.)”고 하였다. 이 감정들은 모두 外物의 자극에 의한 인간의 원초적인 심리반응으로, 문 학에서 감정어로 재탄생된다. 中國古代文學에서도《楚辭》의 ‘發憤抒情(울분을 발하고 정을 편다.)’에서 陸機《文賦》의 ‘詩緣情而綺靡(시는 감정을 따르는 것으 로 아름다워야 한다.)’로 이어가며, ‘詩言志’와 다른 詩歌의 감정표현 기능에 대해 명확하게 인지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Ⅰ. 서론

Ⅱ. 직접감정어 활용 양상

1. 직접감정어의 분류 및 활용

2. 직접감정어에 대한 구체화

Ⅲ. 신체어 표현의 활용 양상

1. 동작형 신체어 표현

2. 생리적 반응형 신체어 표현

Ⅳ.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