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장애인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 314
131049.jpg

인간은 무한히 다양하고 위대한 자연의 일부이기 때문에 모든 사람들의 어떤 삶도 다른 사람들의 삶과 일치하지 않으며, 한 사람이 걷는 길은 다른 사람이 걷는 길과 같지 않다. 사람들이 따르고자 하는 생의 과정은 어느 한 개인이 따르고자 하는 삶이 하나의 관념적 추상이 아니고 누구나 다 기본이 된다고 생각하는 삶의 과정인 것이다. 우리 모두 자라난 환경과 양육된 방법이 다르고 각기 독특한 성에도 불구하고 모든 개인은 기본적으로 비슷한 육체조직과 반드시 이뤄져야 될 비슷한 생리적 욕구를 부여 받았다. 장애인의 경우에도 생의 성숙과 성장 그리고 생의 하강과 죽음의 과정을 거친다. 또한 장애인도 비 장애인들과 마찬가지로 모든 인간의 공통적인 것으로서 각 개인이 오랜 기간 동안의 의존적인 성장을 통하여 자신을 양육시키는 사람들과 강한 유대감을 형성하며 다른 사람들에 대한 욕망으로부터 결코 자유로워지지 않는다. 장애를 가진 모든 개인은 적응 기술을 배우고 성숙된 인간이 되는 데에도 많은 시간이 필요하며 자신에게 기본이 되는 환경을 제공받기 위해서는 사회와 문화에 의존하게 되고 생활하는 방법을 알기 위해서는 사고의 통찰력에 의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들은 시간의 흐름을 알게 되며, 생애 주기적으로 변화되는 입장을 인식하게 된다. 일찍부터 살아감에 따라 나이가 더해짐을 알게 되며, 때로는 이러한 사실에 대하여 슬퍼하기도 하며, 또는 그것에 대하여 기뻐하기도 한다. 그러나 언젠가는 인간은 죽음을 피할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되고 인간의 삶이란 시간과 공간 속에 매우 조그만 부분에서 이루어진 일순간에 우연에 지나지 않음을 알게 된다. 특별히 장애인에게 있어 일반적인 인간의 발달과정과 차이라면 각 개인의 독특한 특성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 장애라는 요소를 부가적으로 경험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모든 것들이 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의 정체성발달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게 만들고 있다.

1. 들어가는 글

2. 인간의 생애 주기

3. 장애와 정체성

4. 장애인의 생애주기에 따른 발달

5. 장애아동의 부모 혹은 가족들이 경험하는 생애주기별 위기 사건

6. 장애에 대한 정체성과 학습된 사회적인 역할

7. 장애인의 정체성에 있어서의 세력화와 정상화

8. 장애 정체성의 세 가지 항목

9. 장애 정체성의 부인

10. 장애인과 사회적 소수인의 경험

11. 결언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