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CI등재
학술저널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연구1)
- 최 원 규 · 박 현 정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 한국장애인복지학
- 제10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09.01
- 69 - 105 (37 pages)
본 연구는 장애인에 대한 장애인 당사자와 비장애인의 전반적인 사회적 거리감 수준을 알아보고 사회적 거리감에 대한 영향요인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전국적으로 무작위 표집된 1,023명이며, 이들에 대해서는 전화를 통한 조사가 이루어졌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접촉요인에서는 장애인당사자의 경우‘가족유무’와‘장애인 친구유무’에서, 비장애인의 경우‘접촉경험’, ‘접촉의 질’,‘장애인 가족유무’,‘장애인 친척유무’,‘장애인 이웃유무’,‘장애인친구유무’,‘장애인동료직원유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으로 사회적거리감의 영향요인을 비교한 결과 장애인당사자의 경우에는‘고정관념’,‘부정적인 감정’,‘성별’과‘월소득’이, 비장애인의 경우에는‘고정관념’,‘부정적인 감정’과‘접촉 경험’그리고‘접촉의 질’.‘연령’,‘월소득’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다.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서 장애인 당사자와 비장애인 사이에 이러한 차이가 나타난 결과는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해소를 위한 차별화된 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 연구의 결과로부터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을 줄일 수 있는 실천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Ⅳ.연구결과
V. 결론 및 제언
Ⅵ. 연구의 한계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