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1060.jpg
KCI등재 학술저널

김대중·노무현 정부 장애인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 112

본 연구는 김대중·노무현 정부의 장애인정책에 대한 이해를 통해 성과와 한계를 분석하여 그의 함 의를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각 정부에 대한 평가 또는 토론은 많으나 두 정부의 장애인정책을 전반적으로 이해하는데 초점을 둔 선행연구는 거의 없다는 점에서 이 글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연 구결과에 따르면 거시적으로는 이전 정부와는 달리 제1,2차 장애인복지발전5개년계획 및 장애인지원 종합대책을 통해 장기전망을 시도·추진하였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미시적으로는 장애범주 확대 및 등 록장애인 수의 증가, 장애수당 개선, 활동보조제도 및 차별금지제도 도입, 장애인소득보장, 교통 및 시설에의 접근성 강화 등이 긍정적인 노력의 결과로 평가될 수 있다. 그러나 장애 조기발견과 조기개 입서비스를 위한 지원체계, 장애인 교육과 고용 및 보건과 복지 등 정책간 연계 및 파트너십, 장애어 르신에 대한 전문서비스를 포함한 노인정책과 장애인정책간의 연계 등 근본적으로 다루어야 할 이슈 들에 대해서는 침묵하였다는 점은 한계로 지적될 수 있다. 앞으로는 장애인정책의 역동성을 이해하면 서 한편으로는 근본적인 대안을 모색하는 것이 선행조건으로 간주되는 주요 사안에 대해서는 정부를 뛰어넘어 지속적인 정책의제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1. 들어가면서

2. 장애인정책 추진의 환경 변화

3. 장애인정책 추진의 거시적 흐름

4. 각 정책영역별 추진내용

5. 김대중·노무현정부 장애인정책에 대한 비판적 검토

6. 글을 맺으며

참고문헌